프로그램/linux2011. 7. 28. 18:10
반응형

버츄얼박스를 이용해서 리눅스를 설치한 후 호스트 OS(본인 PC의 OS)와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Virtualbox의 공유 폴더 기능을 이용하면 되며 그 전에 게스트 확장 설치를 해줘야 한다.

# 게스트 확장 설치 하기(클릭)

1. VirtualBox 메뉴의 장치>공유 폴더를 선택한다.


2. 공유 폴더 창이 뜨면 폴더 목록(Folders List)에서 머신 폴더를 선택한다.


3. 오른 쪽에 있는 아이콘 중에서 + 기호가 있는 폴더 아이콘을 선택한다.



4. 공유 추가 창이 뜨면 폴더 경로에는 호스트에서 공유할 폴더 경로를 적고 폴더 이름은 공유할 폴더의 이름을 적고 항상 사용하기를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른다.
(폴더 경로는 드롭다운 버튼을 클릭 > 기타를 선택해서 직접 찾아도 되며 이렇게 선택하면 폴더 이름이 자동으로 부여가 된다.)



5. 머신 폴더에 방금 설정한 정보가 적용되었으며 본인 PC(호스트 OS)의 D:\virtualbox_share 폴더와 공유가 되도록 설정이 되었다. 확인 버튼을 누른다.
(향후 게스트 OS에서 공유가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D:\virtualbox_share 폴더에 임의로 1.txt 파일을 생성해 놓는다.)

6. 이제는 게스트 OS에 공유될 폴더를 만들어 준다. /mnt 폴더에 share 폴더를 생성한다.
[root@www media]# cd /mnt
[root@www mnt]# mkdir share


7. /mnt/share에 마운트를 시킨다. (virtualbox_share는 공유 폴더 설정에서 만든 이름을 사용한다.)
[root@www mnt]# mount -t vboxsf virtualbox_share /mnt/share


8. 공유가 되었는지 위 5번에서 확인을 위해 미리 생성한 임의 파일 1.txt 파일이 있는지 확인한다.
[root@www mnt]# cd share
[root@www share]# ls


9. 공유가 잘된 것을 확인했으니 이제 잘 사용만 하면 된다.


# 언마운트 중 에러가 발생했다면
-bash: unmount: command not found           <-- 이런 오류 문구가 발생했다면(클릭)

umount: /media: device is busy     <-- 이런 오류 문구가 발생했다면(더보기)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프로그램/linux2011. 7. 28. 17:16
반응형

게스트 확장 설치를 하면
게스트 OS(VirtualBox를 이용해서 설치한 OS)와 호스트 OS(본인 PC의 OS)간의 호스트(Host) 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마우스 등을 편리하게 이동 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호스트 OS의 폴더도 공유해서 게스트 OS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1. 게스트 OS인 CentOS 리눅스를 부팅 한 후 root 계정으로 접속을 한다.

2. VirtualBox의 메뉴 중 장치 > 게스트 확장 설치를 선택한다.

3. 제대로 되었다면 장치 > CD/DVD Devices > VBoxGuestAdditions.iso가 선택되어있으며 하단에 Unmout CD/DVD Device 메뉴가 활성화 되어있다.

 


4. CD-ROM 마운트 위치로 이동해서 게스트 확장 설치 파일들이 있는지 확인한다. (보통 /media 디렉토리에 마운트가 된다.)
[root@www ~]# cd /media
[root@www media]# ls

4.1. VBOXADDITIONS_x.x.x_xxxxx 디렉토리가 있다면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VBoxLinuxAdditions-x86.run 또는 VboxLinuxAdditions.run 파일을 설치한다.
[root@www media]# cd VBOXADDITIONS_x.x.x_xxxxx
[root@www VBOXADDITIONS_x.x.x_xxxxx]# ./VBoxLinuxAdditions-x86.run

4.2. VBOXADDITIONS_x.x.x_xxxxx 디렉토리가 없거나 VBoxLinuxAdditions-x86.run 또는 VboxLinuxAdditions.run 파일이 없다면 마운트를 다시한다.
[root@www media]# cd /
[root@www /]# mount /dev/cdrom /media             <-- /media 디렉토리에 마운트를 했다.
mount: block device /dev/cdrom is write-protected, mounting read-only              <-- 이런 오류 문가가 발생했다면(클릭)
[root@www /]


4.3. 마운트가 잘 되었는지 확인한다.
[root@www /]# ls /media


4.4. 게스트 확장 설치를 실행한다.
[root@www /]# cd /media
[root@www media]# ./VBLinuxAdditions-x86.run


4.5. 설치 에러가 발생했다면



5. 설치가 완료 후 언마운트(unmount)를 해준다. (언마운트를 하지 않으면 CD-ROM을 꺼낼 수 없다.)


5.1. 언마운트 중 에러가 발생했다면
-bash: unmount: command not found           <-- 이런 오류 문구가 발생했다면(클릭)


umount: /media: device is busy     <-- 이런 오류 문구가 발생했다면(더보기)



6. 재부팅을 해준다.
[root@www /media]# reboot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프로그램/linux2011. 7. 28. 15:57
반응형

게스트 OS(VirtualBox를 이용해서 설치한 OS)로 CentOS를 설치 한 후에
VirtualBox 게스트 확장 설치를 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면



yum을 이용해서 커널을 업데이트 해준다.

[root@www /]# yum -y install kernel source
[root@www /]# yum -y install kernel-devel
[root@www /]# yum -y install gcc

설치 완료 후 재부팅을 한 후 다시 게스트 확장 설치를 한다.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프로그램/linux2011. 7. 28. 11:50
반응형

리늑스를 설치 한 후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조회 했더니
다음 과 같이 IP가 잡히지 않았다면
[root@www /]# ifconfig
lo      Link encap:Local Loopback
        inet addr:127.0.0.1 Mask:255.0.0.0
        이하생략
        .
        .
        .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 보자
[root@www /]# ifdown eth0
[root@www /]# ifup eth0


이더넷 eth0에 모듈이 올라오지 않아서 발생한 경우로 ifup eth0 명령어를 통해서 모듈을 실행해준다.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다면
eth0에 inet addr 정보를 보면 10.0.3.15 ip가 부여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유동 IP / DHCP 설정 상태)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프로그램/linux2011. 7. 26. 12:05
반응형

[마운트 하기]
마운트 명령어로 /media 디렉토리를 마운트 시켰더니 다음과 같은 문구가 발생했다.
[root@www /]# mount /dev/cdrom /media
mount: block device /dev/cdrom is write-protected, mounting read-only            
[root@www /]#


이 오류같아 보이는 문구는
CD-ROM을 마운트 시키면 읽기 권한만 발생한다는 내용이다.
그래도 다행인건 리눅스는 이 문구가 발생해도 알아서 마운트를 시켜준다.

이 문구가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o ro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o : read-only)



[언마운트하기]
참고로 마운트를 시킨 후 언마운트(마운트 해제)를 하지 않으면 CD-ROM을 꺼낼 수 없다.
[root@www /]# umount /media
[root@www /]#


언마운트(unmount) 하다가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면
umount: /media: device is busy      <-- 이런 오류 문구가 발생했다면(클릭)

-bash: unmount: command not found       <-- 이런 오류 문구가 발생했다면(클릭)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프로그램/linux2011. 7. 25. 18:55
반응형

마운트 명령어로 /media 디렉토리를 마운트 시킨 후
[root@www /]# mount /dev/cdrom /media
mount: block device /dev/cdrom is write-protected, mounting read-only             <-- 이 문구는 뭘 말하는걸까?(클릭)
[root@www/]#

umount 명령어를 이용해서 언마운트(unmount) 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 문구가 발생했다.
[root@www media]# umount /media
umount: /media: device is busy
umount: /media: device is busy


/media 디렉토리가 바쁘게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원인은 현재 /media 디렉토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media 디렉토리가 사용 중이라는 문구를 보여준다.
그러니 해당 디렉토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해야 한다.
[root@www media]# cd /

이제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했으니 다시 umount를 실행해 보자.
[root@www /]# umount /media
[root@www /]#

오호~ 잘 되었다. ^^


/media 디렉토리 내에 마운트 되었을 때 보여주었던 파일들이 없다면 언마운트가 잘 된거다.
[root@www /]# ls -l /media
total 0
[root@www /]#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프로그램/linux2011. 7. 25. 18:31
반응형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수많은 오류를 접하게 된다.
그 중 모르고있다면 알고나서는 참 쉽고
이미 알고있으면서도 쉽게 범할 수 있는 명령어 오류 중 하나가 unmount 오류이다.

예를 들어 /media 디렉토리에 마운트를 잘 한 후
다시 마운트를 해제하려고 했더니 다음 과 같은 오류 문구가 떡하니 나타난다.

[root@www media]# unmount /media
-bash: unmount: command not found


뭐가 잘못되었을까?

오류 문구를 보니 unmount 명령어를 찾을 수 없다고 하는거 같다.


올바른 명령어를 찾아보니
unmount가 아니라 umount 명령어였다. (사용 리눅스는 CentOS5.6)



마운트 해제 명령어를 실행한다.
[root@www media]# umount /media

어라! 오류가 뜨네~ 뭐지?

umount: /media: device is busy

바쁘단다. ㅜㅜ;

그럼 나도 busy하니 다음에~ ^^:;

알고나면 쉽고 모르거나 잊고 있으면 어려운 오류 중 umount 명령어였다.

umount: /media: device is busy     <-- 이런 오류 문구가 발생했다면(더보기)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레저,취미,여행,사진2011. 7. 16. 16:22
반응형

# 이곳이 정확히 무슨 용도로 사용되는 곳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마치 시멘트로 만들어 놓은 물 저장 창고처럼 보이는 사각형 건물의 내부 모습으로
물이 조금 고여있어서 그 모습을 사진에 담아봤다. 실제로 보면 좋은 모습은 아니고 내부를 보려면 건물 하단에 조그맣게 만들어져있는 개구멍(?)같
은 곳으로 몸을 숙여서 들어가야만 볼 수 있다.
지나가던 어떤 아이는 나의 그런 모습을 보고 호기심이 생겼는지 자꾸 뭐가 있냐고 물어보았다. ^^;;




























# 우포늪을 걷다보면 길 옆으로 커다란 나무를 발견하게 되는데 의자도 있고 그늘도 져서 그 나무에서 쉬는 사람들도 많고 사진 찍는 사람들도 많다. 그 사이에 작은 수로의 모습이다.
 




























































 

# 지나가다 길 옆에 피어있던 꽃을 찰칵.
 






























# 우포늪을 천천히 걸으면서 또는 자전거를 타면서...






























































 




























# 이번 우포늪 여행은 이 곳까지 가봤다. 시간이 없어 다 둘러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 물 저장 창고처럼 생겼던 건물 옆에 큰 바위로 인해 숨겨져 있는 곳으로 나름 괜찮은 분위기가 있었는지 유독 이 곳에서 모델들을 세워놓고 사진들을 많이 찍었다. 바위 아래서 바위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을 찍는 것도 괜찮아 보였다.


 




























# 물 저장 창고 처럼 생긴 건물 옆에서 쉬면서 눈에 띄인 넝쿨 같은 풀.


 



























# 우포늪 주변 길을 걷다 보면 길 옆에 세워져있었다. 꼭대기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 우포늪생태관 건물 벽면에 장식되어있는 재미있는 곤충들... 이 곤충 조형물 말고도 생태관 주변에는 벼를 키우는 농부모습 등 다른 조형물들도 많다.

우포늪 찾아가는 방법 : http://www.upo.or.kr/01info/05_01.asp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레저,취미,여행,사진2011. 7. 16. 15:55
반응형












































































































































# 이 곳을 지날 때 저 나무벤치에 잠시 앉아서 아름다운 우포늪의 경치를 바라보는 여유를...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
레저,취미,여행,사진2011. 7. 16. 15:08
반응형

우포늪은 국내 최대의 자연늪이다. 창녕군 대합면 주매리와 이방면 안리, 유어면 대대리, 세진리에 걸쳐있는 70만평.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활한 늪지에는 수많은 물풀들이 머리를 내밀고 있다. 부들, 창포, 갈대, 줄, 올방개, 붕어마름, 벗풀, 가시연꽃 등이 무더기로 자라고 있다. 늪에 반쯤 밑동을 담그고 있는 나무들이 '원시'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개발이란 미명아래 국내 많은 늪은 사라지고 이제 늪의 모습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곳은 국내 한 곳. 바로 우포늪뿐이다.

이젠 보존해야할 우포... 우포늪은 1997년 7월 26일 생태계보전지역 중 생태계특별보호구역(환경부고시 1997-66호)으로 지정되었으며 국제적으로도 1998년 3월 2일 람사르협약 보존습지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1999년 8월 9일 습지보호지역 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제 우포는 세계인이 지켜보는 가운데 보존해야 할 곳이 된 것이다.


하늘에 구름이 제법있으며 빛은 강해서 덥기까지 했던 오월의 어느 날에 찾은 우포늪.
이 곳은 사진으로도 많이 보고 이름도 많이 알려진 곳이라서 한번쯤 찾아 보고 싶었고
우포늪을 배경으로 한 사진들 속에 자욱하게 드리워져 있는 안갯속을 노란 옷(우비(?))을 입고
늪 한 가운데에 배를 띄어 기다란 나무로 배를 저어가시는 분을 찍은 사진이 있었는데
그 모습이 좋아 나도 담고 싶었지만 막상 한 낮에 찾아서인지 볼 수 없는 장면이었다.
또한 구름같은 안개와 몽환적인 느낌을 기대했었지만 역시 볼 수 없었고 
흔히 볼 수 있는 커다란 호수를 보는 거 같았다.

사전에 미리 정보를 찾아보고 계절과 시간을 맞춰서 찾아야지만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래도 커다란 우포늪을 따라 걷다보면 풍경 좋은 호숫가를 산책하는 느낌이 들어 절로 기분이 좋아진다.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 다 둘러보지 못한 아쉬움으로 돌아와야 했었지만 다음에 또 찾아보고 싶은 곳이다.


# 멋드러지게 피어있는 안갯속에 저 자그마한 배가 우포늪에 띄어져있는 모습을 보고 싶었지만... ^^;
























































 























































































































































# 우포늪 습지보호지역을 소개하고 있는 안내판



























































# 전망대에서 바라 본 우포늪 풍경1





























# 전망대에서 바라 본 우포늪 풍경2





























# 전망대에서 바라 본 우포늪 풍경3




























# 우포늪 전망대 오르내리는 길 제법 한참을 걸어오르고 내려야 한다. 더운 날씨여서 그런지 땀이 날 정도였다.
반응형
Posted by 은둔고수